프로그래밍/Node.js

Node.js 생활코딩 정리 – Passportjs 인증 모듈 사용하기

가카리 2016. 12. 4. 20:02
반응형

Passportjs – 인증 모듈 사용하기

 

Federation 인증이란 카톡이나 페북으로 가입을 시키는 것을 말한다.

 

 

가장 대표적인 인증 모듈인 Passportjs를 사용하는 법을 알아보자.( http://passportjs.org/ 사이트 참고)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strategies로 가보면 다음과 같이 카카오 passportjs인증 모듈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이번에는 페이스북이나 카카오를 안하고 passport-local로 한다.

아래처럼 반드시 name을 username, password로 해야한다.

 

다음 라우트를 보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strategies를 참고해서 코딩을 해야 한다.

 

 

 

app_multi_user_passport.js

 

var express = require('express');

var session = require('express-session');//세션 사용을 위한 모듈

var bodyParser = require('body-parser');//POST 방식 전송을 위해서 필요함

var app = express();

var FileStore = require('session-file-store')(session);//session 파일 스토어를 위해 사용

var bkfd2Password = require("pbkdf2-password");//pbkdf2-password 모듈 사용

var hasher = bkfd2Password();

var passport = require('passport');//passport 모듈 사용

var LocalStrategy = require('passport-local').Strategy;//passport 모듈 사용

 

app.use(bodyParser.urlencoded({extended: false}));//미들웨어 등록부분

//resave 세션아이디를 접속할때마다 발급하지 않는다

app.use(session({

secret: '12312dajfj23rj2po4$#%@#',

resave: false,

saveUninitialized: true,

store:new FileStore()//sessions라는 디렉토리가 생김

}));

 

app.use(passport.initialize());//passport 초기화

app.use(passport.session());//passport 인증 작업시 필요 이것은 세션을 사용하기 위한 app.use(session)뒤에 써야한다

 

app.get('/auth/logout', function(req, res){

delete req.session.displayName;//세션 삭제

res.redirect('/welcome');

});

 

app.get('/welcome', function(req, res){

//console.log(req.user);

if(req.user && req.user.displayName){//req객체에 user 생성되었고 값이 있으면 로그인 성공

res.send(`

<h1>Hello, ${req.user.displayName}</h1>

<a href="/auth/logout">logout</a>

`);

}else{//값이 없으면 로그인에 실패 혹은 로그인 안한사람

res.send(`

<h1>Welcome</h1>

<ul>

<li><a href="/auth/login">Login</a></li>

<li><a href="/auth/register">Register</a></li>

</ul>

`);

}

});

 

var users = [

{

username:'egoing',

password:'bXHtzdi7m+jclUkfYdqgGsm5nYpBBYrqUFjkP+wHFF/j+zFipSf2N8GZJ7eD0yp9T9ovLbnCjjtS/upvcIL8Tw2ffG0G6vnk1vQfG4qMmSyXM4Aug8xgzJxGalSCnbkMVQR5A8r22kKoeTQIjkQtMFisPwZQZSuknrreGuq9am4=',

salt:'rWfFWL8EZGoKGGbzryiu1ZJfkfhvBo0XMinpFrJLTy43EmOV2g9LXIL6385l5FerQAlVK1jXYNmFryKHREPXxQ==',

displayName:'egoing'

},

];

 

app.post('/auth/register', function(req, res){

hasher({password:req.body.password}, function(err, pass, salt, hash){

var user = {

username:req.body.username,

password:hash,//hash 대체함

salt:salt,//만든 salt값도 같이 저장함

displayName:req.body.displayName

};

users.push(user);//입력한 값을 users배열 맨뒤에 추가함

//res.send(users);//한번 뿌려봄

req.session.displayName = req.body.displayName;

req.session.save(function(){

res.redirect('/welcome');

});

});

});

 

app.get('/auth/register', function(req, res){

var output = `

<h1>Register</h1>

<form action="/auth/register" method="post">

<p>

<input type="text" name="username" placeholder="username">

</p>

<p>

<input type="password" name="password" placeholder="password">

</p>

<p>

<input type="text" name="displayName" placeholder="displayName">

</p>

<p>

<input type="submit">

</p>

</form>

`;

res.send(output);

});

 

//done(null, user) 호출되면 이게 호출됨 여기의 user 아래 콜백의 user

passport.serializeUser(function(user, done) {

console.log('serializeUser', user);

done(null, user.username);//username 또는 고유의 id값을 넘겨줘야함 유저를 찾는데 사용함 데이터는 세션에 저장됨

});

 

//serializeUser실행 다음 유저는 deserializeUser메소드로

// id user.username

passport.deserializeUser(function(id, done) {

console.log('deserializeUser1', id);

for(var i=0; i < users.length; i++){

var user = users[i];

if(user.username === id){

done(null, user);//여기가 끝나면 req.user user객체가 저장된다.

console.log('deserializeUser2', user);

}

}

});

 

//미들웨어부분

passport.use(new LocalStrategy(

function(username, password, done){//여기서 실제 사용자가 맞는지 인증하는 부분을 수행

var uname = username;//POST방식으로 보낸 값을 가져옴

var pwd = password;

 

for(var i=0; i < users.length; i++){//계정이 실제로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루프

var user = users[i];

if(uname === user.username){

return hasher({password:pwd, salt:user.salt}, function(err, pass, salt, hash){//salt 이미 저장된 salt값을 넘겨줌

if(hash === user.password){//저장된 해쉬값과 만든 해쉬값이 같으면 인증 성공

console.log('localstrategy', user);

done(null, user);//로그인 성공을 의미 serializeUser 호출 파라미터의 done 아니다

}else{

done(null, false);//로그인 실패를 의미 message항목은 failureFlash true일때만

}

});

}

}//for문종료

done(null, false);

}

));

 

//전송된 데이터는 passport.authenticate라는 미들웨어로 가게함

//성공시 /welcome으로

//실패시 /auth/login으로

//로그인 실패시 사용자에게 인증에 실패했다고 정보를 알려주는 것이 failureFlash: true

// 'local전략을 쓰라는뜻 만약 페이스북이면 'facebook' 것임

//local 전략이 실행되면 function(username, password, done) 콜백이 실행됨

app.post('/auth/login',

passport.authenticate('local', {

successRedirect: '/welcome',

failureRedirect: '/auth/login',

failureFlash: false })

);

 

app.get('/auth/login', function(req, res){

var output = `

<h1>Login</h1>

<form action="/auth/login" method="post">

<p>

<input type="text" name="username" placeholder="username">

</p>

<p>

<input type="password" name="password" placeholder="password">

</p>

<p>

<input type="submit">

</p>

</form>

`;

res.send(output);

});

 

app.get('/count', function(req, res){

if(req.session.count){//값이 있을때

req.session.count++;

}else{//처음 접속했을때 값이 없을

req.session.count = 1;//세션을 만듬

}

 

res.send('count : ' + req.session.count);

});

 

app.listen(3003, function(){

console.log('Connected 3003 port!!!');

});

 

 

실행 화면

localstrategy 다음 serializeUser가 실행된다 값은 비교해보면 같음을 알 수 있다. 그다음 deserializeUser가 실행 된다.

다음 로그인 화면에서 새로고침을 누르면 deserializeUser가 계속 실행된다.

즉 저장된 세션을 가지고 로그인을 함을 알 수 있다.

 

출처 : https://opentutorials.org/course/213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