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 IPv6 Auto Configuration
답.
1. IPv6 Auto Configuration의 개념
  - IPv6는 32bit IPv4의 문제점인 주소고갈, 보안성, 이동성 등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128bit 주소체계를 갖는 프로토콜임.
  - IPv6 Auto Configuration은 네트워크상의 모든 호스트들이 정해진 약속에 따라 네트워크 정보를 설정하는 방식임.
2. IPv6 Auto Configuration 개념도 및 종류
  가. 개념도
<그림. IPv6 Auto Configuration 개념도>
  - 호스트 IP주소의 자동생성은 Stateful 방식과 Stateless방식으로 구분됨.
  나. 종 류
| 종 류 | 설 명 | 
| Stateful 방식 | 
 | 
| Stateless 방식 | 
 | 
3. Stateless방식과 Stateful방식 비교
| 구 분 | Stateful 방식 | Stateless 방식 | 
| 자동 설정 | 가능 | 가능 | 
| Prefix | 불필요 | 일부 필요 | 
| DHCP서버 | 필요 | 불필요 | 
| 주소할당방식 | DHCP 서버 | MAC주소기반 할당 | 
| 중복주소검출 | 불필요 | 필요 | 
'정보통신 정보관리기술사 > 정보통신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문. LBS(Location Based Service) 플랫폼 / 응용기술 (0) | 2020.09.13 | 
|---|---|
| 문. VLSM(Variable Length Subnet Mask)과 CIDR(Classless Inter Domain Routing) (0) | 2020.09.06 | 
| 문. IPv4 주소 27.27.27.27/27의 네트워크 주소, 호스트 주소, 브로드캐스트 주소 (0) | 2020.09.04 | 
| IPv6 표현 방식과 주소 종류 (0) | 2020.08.04 | 
| Anycast (0) | 2020.07.20 | 
| IPv6에서 사용하는 애니캐스트(Anycast)주소와 멀티캐스트(Multicast)주소를 비교 (0) | 2020.07.01 | 
| 지능형 사물인터넷 필요기술과 구현방식, 향후 발전 방향 (0) | 2020.06.06 | 
| NB-IoT (0) | 2020.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