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기술사 128

정보통신기술사 서브노트 통합본 출시!

#서비스 소개한권으로 끝내는 정보통신기술사 합격가이드북을 보시고 많은 분들이 서브노트 집필을 요청하셔서 의무감을 갖고 10개월 동안 작업을 했습니다. 그리고 출시 이후에도 많은 분들이 응원과 감사의 말씀을 주셨습니다. 이중 학원에 개인적인 사정으로 못가거나 지방에서 홀로 공부하시는 분들이 최신 토픽에 대한 정리방법에 대한 문의가 많았는데 일일이 답변하는 것보다는 한번 다시 써보자라는 생각이 들어서 이렇게 펜을 다시 잡았습니다.(이 때문에 또 타기술사 공부를 못하는 불상사가...) 기존 서브노트(1권) 555개의 토픽에 이어서 이번에 작성한 서브노트 2권에는 146개의 토픽을 추가로 작성하였습니다. 특히 최근 설계/감리/법제도분야에 기출문제가 많이 나오는 만큼 이 부분에 대해서 많은 보완을 하였습니다.  ..

한권으로 끝내는 정보통신기술사 합격 가이드북 개정판 출시

서비스 설명# 이런 분들에게 추천합니다.1) 정보통신기술사 공부의 시작을 어떻게 해야 되는지 궁금한 수험생2) 2년 이내로 꼭 합격하고 싶은 수험생3) 최근 필기시험 점수 55점 이하4) 3년 이상 장수생 # 개정판 추가사항(24.10.20)1) 정보통신기술사가 되면 좋은 점2) 필자의 실전 면접 사례3) 기타 필기 공부 및 면접 관련 팁 추가! # 서비스설명정보통신기술사 합격 가이드북은 필자가 학원 및 스터디그룹에서 배웠던 모든 노하우를 집대성 하였으며, 최대한 수험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작성하였습니다. 정보통신기술사 10명의 공부 노하우 분석과 10년 치 기출답안 분석으로 서브노트 작성방법, 답안 차별화 방법, 다음 출제문제 예상법 등을 상세히 기술하였습니다. 정보통신기술사 합격 가이드북에 명시한 내용..

정보통신기술사 131회 기출풀이 드립니다.

#서비스 소개  정보통신기술사 131회 필기시험(23.07.22) 기출풀이입니다. 1. 정보통신기술사 131회 기출문제를 풀어봐야되는 이유?  이전에는 출제되지 않은 감리쪽 문제가 다수 출제되었습니다. 정보통신공사 감리표준품셈, 착공전 설계도 확인, 사용전 검사, 방송공동수신설비 설치기준 등은 언제 다시 출제되어도 이상하지 않은 문제입니다. 따라서 131회에 나온 토픽들은 반드시 챙겨가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앞으로 필기합격을 하기 위해서는 최근 기출문제를 반드시 풀어보셔야 됩니다. 2. 차별화된 답안 작성  다양한 학술지, 논문, 인터넷 자료를 참고해서 다양한 관점으로 답안을 작성했습니다. 또한 저만의 쉬운 그림 포맷으로 누구나 쉽게 작성할 수 있는 그림을 삽입했습니다. 3. 합격답안 포맷 트렌드..

정보통신기술사 132회 기출풀이 드립니다.

#서비스 소개정보통신기술사 132회 필기시험(24.02.03) 기출풀이입니다. 1. 정보통신기술사 132회 기출문제를 풀어봐야되는 이유?  이전 기출문제인 맥스웰 방정식, UTP, FTP, STP 케이블, 데이터센터 가용성 등급 등의 심화된 문제가 다수 출제됬습니다.  앞으로 필기합격을 하기 위해서는 최근 기출문제를 반드시 풀어보셔야 됩니다. 2. 차별화된 답안 작성  다양한 학술지, 논문, 인터넷 자료를 참고해서 다양한 관점으로 답안을 작성했습니다. 또한 저만의 쉬운 그림 포맷으로 누구나 쉽게 작성할 수 있는 그림을 삽입했습니다. 3. 합격답안 포맷 트렌드 반영  수험생분들은 인터넷 서칭하는 시간도 아깝습니다. 빨리 좋은 서브노트를 필사하면서 본인의 것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기출풀이는 현..

정보통신기술사 129회 기출풀이 출간!

# 전문가 소개 - 정보통신기술사, 정보관리기술사- 2021년 정보통신분야 기술사 2개 취득- 125회 정보통신기술사(동기회 최연소), 125회 정보관리기술사 동시 합격- 정보통신기술사 필기합격까지 2년 2개월 소요 / 면접합격까지 2년 소요- 정보관리기술사 필기합격까지 1년 소요 / 면접합격까지 1개월 소요 #서비스 소개 정보통신기술사 129회 필기시험(23.02.04) 기출풀이입니다. 1. 정보통신기술사 129회 기출문제를 풀어봐야되는 이유?이전 128회 기출문제인 드론탐지기술, SFP, 통신망 설비의 이중화 구조, DRS 등이 심화된 문제가 다수 출제됬습니다. 앞으로 필기합격을 하기 위해서는 최근 기출문제를 반드시 풀어보셔야 됩니다. 2. 차별화된 답안 작성남들과의 차별화된 답안을 작성해야 고득점으..

정보통신기술사 서브노트 출간

정보통신기술사 서브노트가 드디어 출간되었습니다. #서비스 소개  한권으로 끝내는 정보통신기술사 합격가이드북을 보시고 많은 분들이 서브노트 집필을 요청하셔서 의무감을 갖고 10개월 동안 작업을 했습니다.(이 때문에 건축전기설비기술사는 10개월간 공부를 못했습니다..)   1. 정보통신기술사 중요 토픽 총정리   시중의 정보통신기술관련 책과 각종 학원자료 그리고 정보통신기술사 합격자 5분의 서브노트를 참고해서 작성했습니다.   이외에도 수백개의 인터넷 서칭 자료, 논문, 학술지를 참고하였습니다. 필자가 학원 및 스터디그룹에서 배웠던 모든 노하우를 집대성한 서브노트입니다.   수험생분들은 인터넷 서칭하는 시간도 아깝습니다. 빨리 좋은 서브노트를 필사하면서 내것으로 만드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2. 빈출토..

문. 멀티클라우드 기술 및 표준화 동향

토픽 멀티클라우드 기술 및 표준화 동향 도메인 디지털 서비스 중요도 중 참고문헌 정영우, “멀티클라우드 기술 및 표준화 동향”, TTA 저널 vol201, 2022.05, pp86-92. 문. 멀티클라우드 기술 및 표준화 동향(2022.05.) 답. 1. 개요 - 멀티클라우드 기술은 두 개이사으이 퍼블릭 클라우드를 연계ㅡ 운용, 활용, 관리하기 위한 차세대 클라우드 기술 - 다수의 퍼블릭 클라우드의 인프라 서비스(IaaS)를 연동하여 운영하고 구성된 멀티클라우드 인프라에서 다양한 응용 및 서비스의 유연한 배치, 운용 및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 2. 멀티클라우드 관리 주요 기술 가. 개념도 - 복수의 클라우드를 연계, 통합하여 사용하기 위해서 멀티클라우드 관리 기술의 지원 필요 나. 주요 기술 구 분 ..

문. 개방형 5G 프론트홀 기술 동향

토픽 개방형 5G 프론트홀 기술 동향 도메인 이동통신 중요도 중 참고문헌 이재승 외 2명, “개방형 5G 프론트홀 기술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2022.06, pp1-10. 아주경제, “SK텔레콤 5G 기지국 유선망 '프런트홀' TTA 표준으로 확정”, (https://www.ajunews.com/view/20200617105432450) 문. 개방형 5G 프론트홀 기술 동향(2022.06.) 답. 1. 개요 - 기존 4G에서 사용되면 C-RAN(Centralized RAN)구조는 PHY와 RF 사이를 나누는 기능 분할 옵션8을 기반으로 하고있으며, CPRI(Comon Public Radio Interface)기반의 프론트홀 인터페이스가 널리 사용됨 - 5G에서는 더 넚은 대역폭, mmWave, Ma..

문. 안전한 활용을 위한 개인정보 비식별화 동향

토픽 안전한 활용을 위한 개인정보 비식별화 동향 도메인 보안 중요도 중 참고문헌 김순석, “안전한 활용을 위한 개인정보 비식별화 동향”, 주간기술동향, 2022.06.29, pp2-13. 문. 안전한 활용을 위한 개인정보 비식별화 동향(2022.06.) 답. 1. 개요 - 가명 혹은 익명처리를 총칭해서 비식별화라고 부름 - 가명처리는 개인정보의 일부를 삭제하거나 일부 또는 전부를 대체하는 등의 방법으로 추가 정보가 없이는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도록 처리하는 것 - 익명처리 시간, 비용, 기술 등을 합리적으로 고려할 때 다른 정보를 사용하여도 더 이상 개인을 알아볼 수 없도록 처리하는 것 2. 개인정보 비식별화 관련 법령 및 제도 현황 구 분 설 명 소관부처 법률 - 개인정보 보호법 개인정보위 - 신용..

문. MPEG 포인트 클라우드 및 메시 압축 표준화 동향

토픽 MPEG 포인트 클라우드 및 메시 압축 표준화 동향 도메인 방송공학 중요도 중 참고문헌 장의선, “MPEG 포인트 클라우드 및 메시 압축 표준화 동향”, 주간기술동향, 2022.04.20, pp15-24. 문. MPEG 포인트 클라우드 및 메시 압축 표준화 동향(2022.04.) 답. 1. 개요 - MPEG 3D 그래픽스 그룹에서 최근에 완성한 포인트 클라우드 압축 표준과 새롭게 시작하고 있는 동적 메시 부호화 표준화 활동 동향 소개함 2. MPEG 3D 그래픽의 AR/VR 관련 주요 표준 구 분 설 명 3D Mesh Coding - MPEG-4 Visual 표준(ISO/IEC 14496-2)으로 1998년 표준화됨 - Web3D 컨소시움의 VRML(Virtual Reality Modeling 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