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 D2D통신
답.
1. D2D 통신의 개념
- 기지국 또는 AP 등의 인프라를 거치지 않고 단말기간 직접 통신을 하는 기술임
2. D2D의 개념도 및 절차
가. 개념도
<그림. D2D 개념도>
- 무선 주파수의 효율적 재활용
- 전력소모의 최소화와 Cell 커버리지 확장 가능
나. 통신 절차
절 차 |
설 명 |
단말 탐색 과정 |
- D2D 통신이 가능한 주변 단말 검색 |
링크 생성 과정 |
- 링크 설정 단말과 링크 생성 |
데이터 전송과정 |
- 데이터 전송 |
3. D2D 표준화 기술
구 분 |
설 명 |
3GPPProSE |
- Proximity-based Service(3GPP Rel 12)- LTE기반 단말간 직접 통신 수행- PS-LTE 등에 활용 |
WiFi Direct |
- IEEE 802.11- 단말 중 하나가 기지국 기능을 하는 Group Owner가 되어 관리 |
WiFi-TDLS |
- Tunneled Direct Link Setup- 무선기지국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간섭없이 기기간 통신 |
IEEE 802.15.8 |
- Peer Aware Communication- 11GHz이하 대역을 이용- 인프라가 없는 환경에서 기기간 직접 통신 기술- 다중그룹통신 지원- Multi Hop relay 지원 |
'정보통신 정보관리기술사 > 정보통신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 OSI 참조모델 2계층에서의 오류제어방식 (0) | 2021.03.26 |
---|---|
문. RMON(Remote Network MONitoring) (2) | 2021.03.23 |
문.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0) | 2021.03.22 |
문. PAC(Peer Aware Communication, 802.15.8) (0) | 2021.03.21 |
문. Zing (0) | 2021.03.19 |
문. 블루투스 5.0 (0) | 2021.03.17 |
문. 블루투스 블루본 (0) | 2021.03.16 |
문. 블루투스 메시 (0) | 2021.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