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7. 충돌의 해결
충돌은 서로 같은 소스 부분을 수정해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1. 일부러 충돌을 만들기 위해서 exnode1에서 충돌을 작업을 한다.
그리고 커밋을 해둔다.
2. 그다음 exnode1_clone에서 충돌을 만들기 위해 동일한 위치의 소스를 수정 후 PULL을 한 뒤 커밋을 하면 다음과 같이 충돌이 발생한다.
3. exnode_clone으로 가보면 충돌 난 부분을 볼 수 있다.
index.html 파일
4. 그러면 소스를 수정해서 충돌을 해결하자.
5. index.html에서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Resolve Conflicts -> Mark Resolved를 누른다.
6. 다음 창이 뜨면 Ok를 누른다.
7. 다음과 같이 충돌이 해결된 상태로 된다.
8. 그리고 바로 커밋을 해주자. 그러면 다음과 같이 병합이 잘 된 것을 볼 수 있다.
9. 여기서 알아야 할 것은 마지막에 올리는 사람이 충돌을 해결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소스를 어떻게 수정해야 할 지 모르면 당사자한테 찾아가서 좀 물어봐라
출처 : https://opentutorials.org/course/1492
'프로그래밍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코딩 Git 정리 - 버전관리에서 제외하기(.gitignore) (0) | 2017.03.03 |
---|---|
생활코딩 Git 정리 - Tag(태그) (0) | 2017.03.02 |
생활코딩 Git 정리 - stash(안전한 곳에 보관해 둠) (0) | 2017.03.01 |
생활코딩 Git 정리 - 비교, 병합 외부 도구 연결 (0) | 2017.02.26 |
생활코딩 Git 정리 – Push, Pull 협업의 기술 (0) | 2017.02.24 |
생활코딩 Git 정리 – Github을 이용하여 원격저장소로 업로드 및 복사하기 (0) | 2017.02.24 |
생활코딩 Git 정리 - Github을 이용하여 원격 저장소 만들기 (0) | 2017.02.20 |
생활코딩 Git 정리 - Branch 충돌의 최소화 방법 (0) | 2017.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