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de.js 생활코딩 정리 – Express 프레임워크 동적방식과 정적방식 차이
1. 정적인 파일은 내용을 변경하면 바로 반영된다. 2. 동적인 파일은 내용을 변경하면 서버를 껐다가 다시 켜야 한다. 하지만 동적으로 하면 for문을 써서 쉽게 반복되는 구문을 만들 수 있다. app.js var express = require('express'); var app = express(); app.use(express.static('public'));//public 폴더를 정적으로 변환 app.get('/', function(req, res){//'/'은 홈으로 접속한 것을 의미 res.send('Hello world'); });//사용자가 GET방식으로 웹서버에 접속할 때 app.get('/dynamic', function(req, res){ var lis = ''; for(var i=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