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71

정보관리기술사 서브노트 2권 출시!

# 전문가 소개 1) 정보관리기술사- 124회 정보관리기술사(총 학습기간 1년) 2)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AI 전공 재학 중 #서비스 소개 (정보관리기술사 통합본을 구매하신 분은 이 서비스를 구매 안하셔도됩니다. 통합본에 2권도 포함되어있습니다!!) 얼리버드 선착순 20명 30%할인 중입니다!!  저의 첫번째 책 “친절한 최차장이 알려주는 정보관리기술사 합격가이드”과 두번째 책인 "정보관리기술사 서브노트"를 보시고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정보관리기술사 시험에 관심을 주셨습니다. 이번에는 실제 학원에서 강의를 하면서 작성한 핵심 토픽과 최신 기출문제를 기반으로 정보관리 기술사 서브노트 2권을 완성시켰습니다.(감수 김프로그래머(125회 정보관리기술사))  기존 저서인 정보관리기술사 서브노트에서 다루지 못..

정보관리기술사 서브노트 통합본 드립니다.

서비스 설명# 전문가 소개 1) 정보관리기술사- 124회 정보관리기술사(총 학습기간 1년)2)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AI 전공 재학중 #서비스 소개 저의 첫번째 책 “친절한 최차장이 알려주는 정보관리기술사 합격가이드”를 보시고 많은 분들이 서브노트 정리법에 대한 요청을 해주셨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2명의 기술사가 약 2년간의 집필작업 끝에 정보관리기술사 서브노트를 완성시켰습니다.(감수 김프로그래머(125회 정보관리기술사)) #책 구성 소개 1. 정보관리기술사 서브노트 1권: 고전토픽 ~ 빈출토픽 정리본(기존 집필한 것) 2. 정보관리기술사 서브노트 2권: '23년이후 최신 토픽 및 주간기술동향 등 논문 정리본  #책 내용 소개 1. 정보관리기술사 빈출 토픽 총정리 정보관리기술사 시험문제의 60~70..

정보관리기술사 서브노트 드립니다.

작년부터 약 1년간 집필 작업 끝에 드디어 정보관리기술사 서브노트를 출간했습니다.(기술사 2명 공동집필) 1. 학원에 갈 상황이 안되서 독학을 하려는데 어떻게 답안을 작성해야되는지 모르시는 분? 2. 기술사 공부를 하고 싶은데 어떤 책을 봐야될지 막막하신 분? 3. 여러번 시험을 응시했지만 매번 50점대에서 떨어지시는 분? 위와같은 상황에 계신분들을 위해서 정보관리기술사 서브노트를 작성했습니다. 정보관리기술사는 특히 기존 기출문제가 60~70% 출제되기때문에 반드시 기존 기출문제를 정리하고 가셔야됩니다. (서브노트 총 토픽수 646개 / 총 페이지수 2014페이지 정리 완료!!) 제가 공부할 때는 이러한 서브노트 자료가 없어서 구글링, 학원자료 등을 모두 취합 정리하는 방식으로 공부를 했는데요..

정보관리기술사 합격 가이드 출시!!

제가 감수한 책 정보관리기술사 합격가이드가 출시됬네요. 정보관리기술사 공부 방법론 뿐만 아니라 각종 노하우의 총집합 버젼입니다. 특히 서브노트 작성 파트에 중점을 둬서 작성을 했습니다. 어떻게 해야 합격답안을 만들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들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를 들어서 설명했어요. 3명의 기술사 답안을 참조해서 만든 합격가이드여서 단기간 합격에 반드시 도움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 친절한 최차장 소개 1) 정보관리기술사 - 2021년 9월 정보관리기술사 취득(학습기간 1년) 2)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AI 전공 재학 중 # 서비스 소개 안녕하세요. 친절한 최차장입니다. 기술사에 도전하는 분들에게 도움을 드리기 위해 크몽에서 전자책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정보관리기술사/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는 급변하..

문. 멀티클라우드 기술 및 표준화 동향

토픽 멀티클라우드 기술 및 표준화 동향 도메인 디지털 서비스 중요도 중 참고문헌 정영우, “멀티클라우드 기술 및 표준화 동향”, TTA 저널 vol201, 2022.05, pp86-92. 문. 멀티클라우드 기술 및 표준화 동향(2022.05.) 답. 1. 개요 - 멀티클라우드 기술은 두 개이사으이 퍼블릭 클라우드를 연계ㅡ 운용, 활용, 관리하기 위한 차세대 클라우드 기술 - 다수의 퍼블릭 클라우드의 인프라 서비스(IaaS)를 연동하여 운영하고 구성된 멀티클라우드 인프라에서 다양한 응용 및 서비스의 유연한 배치, 운용 및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 2. 멀티클라우드 관리 주요 기술 가. 개념도 - 복수의 클라우드를 연계, 통합하여 사용하기 위해서 멀티클라우드 관리 기술의 지원 필요 나. 주요 기술 구 분 ..

문. 개방형 5G 프론트홀 기술 동향

토픽 개방형 5G 프론트홀 기술 동향 도메인 이동통신 중요도 중 참고문헌 이재승 외 2명, “개방형 5G 프론트홀 기술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2022.06, pp1-10. 아주경제, “SK텔레콤 5G 기지국 유선망 '프런트홀' TTA 표준으로 확정”, (https://www.ajunews.com/view/20200617105432450) 문. 개방형 5G 프론트홀 기술 동향(2022.06.) 답. 1. 개요 - 기존 4G에서 사용되면 C-RAN(Centralized RAN)구조는 PHY와 RF 사이를 나누는 기능 분할 옵션8을 기반으로 하고있으며, CPRI(Comon Public Radio Interface)기반의 프론트홀 인터페이스가 널리 사용됨 - 5G에서는 더 넚은 대역폭, mmWave, Ma..

문. 안전한 활용을 위한 개인정보 비식별화 동향

토픽 안전한 활용을 위한 개인정보 비식별화 동향 도메인 보안 중요도 중 참고문헌 김순석, “안전한 활용을 위한 개인정보 비식별화 동향”, 주간기술동향, 2022.06.29, pp2-13. 문. 안전한 활용을 위한 개인정보 비식별화 동향(2022.06.) 답. 1. 개요 - 가명 혹은 익명처리를 총칭해서 비식별화라고 부름 - 가명처리는 개인정보의 일부를 삭제하거나 일부 또는 전부를 대체하는 등의 방법으로 추가 정보가 없이는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도록 처리하는 것 - 익명처리 시간, 비용, 기술 등을 합리적으로 고려할 때 다른 정보를 사용하여도 더 이상 개인을 알아볼 수 없도록 처리하는 것 2. 개인정보 비식별화 관련 법령 및 제도 현황 구 분 설 명 소관부처 법률 - 개인정보 보호법 개인정보위 - 신용..

문. MPEG 포인트 클라우드 및 메시 압축 표준화 동향

토픽 MPEG 포인트 클라우드 및 메시 압축 표준화 동향 도메인 방송공학 중요도 중 참고문헌 장의선, “MPEG 포인트 클라우드 및 메시 압축 표준화 동향”, 주간기술동향, 2022.04.20, pp15-24. 문. MPEG 포인트 클라우드 및 메시 압축 표준화 동향(2022.04.) 답. 1. 개요 - MPEG 3D 그래픽스 그룹에서 최근에 완성한 포인트 클라우드 압축 표준과 새롭게 시작하고 있는 동적 메시 부호화 표준화 활동 동향 소개함 2. MPEG 3D 그래픽의 AR/VR 관련 주요 표준 구 분 설 명 3D Mesh Coding - MPEG-4 Visual 표준(ISO/IEC 14496-2)으로 1998년 표준화됨 - Web3D 컨소시움의 VRML(Virtual Reality Modeling La..

문. 해양 선박 사이버보안 동향

토픽 해양 선박 사이버보안 동향 도메인 디지털 서비스 중요도 하 참고문헌 서정택, “해양 선박 사이버보안 동향”, 주간기술동향, 2022.08.03, pp2-14. 문. 해양 선박 사이버보안 동향(2022.08.) 답. 1. 스마트 선박 개념 -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육상과 해양 선박이 밀접하게 연결하는 ICT기술로 상황인식, 고장예측진단, 예방정비 기술, 의사결정지원 등을 활용하여 안전하고 경제적인 운항하는 선박 2. 조선 해양분야에서의 4대 이슈 구 분 설 명 안전성 - 사람의 오류를 최소화시키고 우수한 해기사 인력 부족 문제 해결 신뢰성 - 선박 장비와 시스템 상태를 감지하고, 장애를 미리 예측하여 선박 시스템의 신뢰성 확보 효율성 - 최적 항로 제공으로 선박 운영 최소화 및 항해 대기시간을 줄여 ..

문. 로우코드(Low-code) 및 노코드(No-code) 플랫폼 기술 동향

토픽 로우코드(Low-code) 및 노코드(No-code) 플랫폼 기술 동향 도메인 디지털 서비스 중요도 중 참고문헌 TTA 정보통신용어사전(http://terms.tta.or.kr/main.do) 이장원, “로우코드 및 노코드 플랫폼 기술 동향”, 주간기술동향, 2022.07.27, pp15-27. 문. 로우코드(Low-code) 및 노코드(No-code) 플랫폼 기술 동향(2022.08.) 답. 1. 로우코드 및 노코드의 개념 -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있어 코딩을 최소화하거나 아예 하지 않은 플랫폼 기술 - 코딩 경험이 거의 없는 분석가 또는 프로젝트 관리자 등의 현업 부문 사용자가 앱을 개발할 수 있도록 고안됨 2. 로우코드 및 노코드 기대효과 구 분 설 명 시민개발자 활성화 - 기업이 제공한 환경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