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및 직장/취업 및 직장 이야기 193

2014년 삼성/LG/SK 주요 대기업 채용인원 공개

[속보] 삼성, LG, 현대차, SK, 롯데 및 주요기업 채용시작 및 채용인원 공개 국내 주요 대기업들이 하반기 대졸 신입사원 채용일정을 속속 발표하고 있습니다. 이제 드디어 하반기 취업전쟁이 시작되고 있습니다. 먼저 발표된 5대 기업과 주요 기업들의 일정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5대 그룹 대졸 공채 일정 기업 원서접수 인적성검사 삼성 9월 하순 10월 12일 현대차 9월 초 10월 초 LG 9월 1일~17일 10월 초 SK 9월 1일~22일 10월 19일 롯데 9월 2일~16일 10월 초 주요 기업 채용인원 삼성 5,000명 현대자동차 6,800명 SK 약 1,200명 예상 롯데 1,300명 LG 4,000명 신한은행 210명 국민은행 280명 우리은행 250명 하나은행 100명 이상 산업은행 70명..

대기업 중소기업 근무 환경 공유 사이트 알려드립니다.

대나무섬이라는 익명 기반 직장 정보 사이트를 소개합니다.(https://www.daenamusum.com/) 외국에 서버를 두고있어서 인사팀이 커트를 하지도 못해서 좋구요. 저도 여기서 많은 회사 정보를 얻었네요. 면접정보, 스펙, 회사 장단점, 연봉 정보 모두 공개되있습니다. 현재 자료가 점점 업데이트되는 시점이라서 모두 정보를 공유했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크롬에 최적화가 되있어서 크롬으로 접속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출처 : https://www.daenamusum.com/

현대중공업 해양플랜트 이야기

안녕하세요. 어젠가 HHI 해양쪽 경력 사원 공고가 떠서.. 이것 저것 궁금한게 많아서.. 혹시 현직자 분 계시면 도움좀 부탁 드립니다. 1. HHI는 해양 플랜트 관련 Project의 설계(E) 업무를 단독으로 수행이 가능한가요...? 소위 말하는 엔지니어링 Compay에게 맡기지 않구요. (프로세스의 경우 P&ID 및 PDS 작성, 기계의 경우 MR, TBE, Vendor data review 등의 업무) 서울에 해양 엔지니어링 센터가 있다고 하는데.. 그곳에서 실제 수행을 하는 것인지.. 아님 그냥 단순 견적 업무만 수행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2. 해양 엔지니어링 센터가 광화문 어딘가에 존재하는 것으로 아는데... 대체 위치가 어딘가요..? ; 육상 엔지니어링 센터는 계동 현대건설 건물에 있는..

삼성전자 라인 설비직 장단점!! (2014년 기준)

서울에서 모 대학 화공과를 졸업하고, s에서 9년을 근무했습니다. 후배들의 선택에 참고 되길 바랍니다. 1. 스펙 - 학창시절 나름 공부 잘했다고 생각하고 나름 명문대라고 생각하는 대학나온 학사(당시 지방대 의대정도?) - 영어나 이런건 무의미하니 적지 않고 다만 평균은 된거 같네요. 2. 근무여건 - 라인에서 교대 5년 돌았습니다. 3조2교대 (12시간씩 하는 근무) 같이 교대 돌던 사람 결혼 할때 13일 연속 야간 맞교대 했습니다. 오후 5시쯤 일어나 30분만에 세수하고 6시 출근해서 다음날 아침 6시 출근하고 집에오고 씻고 7시에 자는거죠. 교대는 정말 왠만하면 돌지 마십시오. 수명이 1.5배 빨리 닳게됩니다. 제가 운이 없던편은 맞습니다. 교대 안돌아본사람은 절대로 그 신체적 고통을 알 길이 없습..

식품 회사 현직자가 말하는 현실. (2014.05.17)

현재 식품회사에 근무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전에 글을 한번 썻다가.. 엄청난 문의 쪽지가 오는 바람에.. 여러분들이 궁금해 하는 몇가지 사항을 이야기 해보고자 합니다. 일단 저는 전공이 이공계가 아니기에 공대계열(삼성전자, LG전자, 현차, 포스코 같은 공대 계열 회사의 분위기에 대해서는 전혀 모릅니다.)의 전반적인 상황을 제외하고 제가 알고있는 유통, 식품같은 업계 분위기를 토대로 취업을 준비하시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몇자 써볼까 합니다..제가 글을 써내려가면서 혼자 흥분해서 다소(?) 과도한 어휘를 사용할 수도 있으니 너그러이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시작해볼게요 ^.~ *우선 먼저 묻고 싶네요. 여러분은 먹고살기 위해 취업을 하려하시나요? 아니면 정말 자신의 인생의 한 순간에서 이 기..

공공기관 대졸 신입사원 연봉은 코스콤 4345만원 '초봉 킹'

올해 대졸 신입사원 연봉이 가장 높은 공공기관은 코스콤(옛 증권전산)으로 나타났다. 공공기관 중에서 덩치가 크고 정부의 집중 관리를 받는 공기업(자체 수입이 총수입액의 절반 이상인 공공기관)만 놓고 보면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연봉이 가장 높고 LH(한국토지주택공사)는 가장 낮았다. 16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에 따르면 올해 대졸 사무직(일부 정부 출연연구소는 석사 출신 기준) 신입사원 연봉을 공시한 299개 공공기관 가운데 코스콤이 4345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코스콤은 지난해에도 연봉 1위였다. 이어 한국정책금융공사(4278만원), 정보통신정책연구원(4267만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4264만원), 중소기업은행(4240만원) 순이었다. 이 밖에 한국원자력연구원(4229만원), 산업은행(4..

삼성전자 설비직의 실태 (펌자료)

서울에서 모 대학 화공과를 졸업하고, s에서 9년을 근무했습니다. 후배들의 선택에 참고 되길 바랍니다. 1. 스펙 - 학창시절 나름 공부 잘했다고 생각하고 나름 명문대라고 생각하는 대학나온 학사(당시 지방대 의대정도?) - 영어나 이런건 무의미하니 적지 않고 다만 평균은 된거 같네요. 2. 근무여건 - 라인에서 교대 5년 돌았습니다. 3조2교대 (12시간씩 하는 근무) 같이 교대 돌던 사람 결혼 할때 13일 연속 야간 맞교대 했습니다. 오후 5시쯤 일어나 30분만에 세수하고 6시 출근해서 다음날 아침 6시 출근하고 집에오고 씻고 7시에 자는거죠. 교대는 정말 왠만하면 돌지 마십시오. 수명이 1.5배 빨리 닳게됩니다. 제가 운이 없던편은 맞습니다. 교대 안돌아본사람은 절대로 그 신체적 고통을 알 길이 없습..

LIG 넥스원 근무 환경? (펌자료)

현재 위 기업에 재직중인 사람입니다. xxx쪽으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방산쪽으로 선택을하게된 계기가 연봉이 좀 낮더라도 여유있게 생활하고 싶어서였습니다. 헌데.. 기대와는 많이 다르더군요. 기본 8~9시 퇴근에 10~12시 퇴근도 허다하구요.. 동종 업계에 종사하는 지인에게 물어보면 6~7시를 넘겨 퇴근하는 일이 드물더군요.. 민수기업에서도 9~10시면 늦은 퇴근인거 같은데.. 이 연봉 받아가며 이곳에 계속 있어야 하는지 고민입니다. 기업문화가 썩 좋아보이지도 않고.. 퇴근을 빨리하는것도 아니고.. 입사할때 가졌던 기대들이 많이 무너진 상태입니다. 많은 채찍질과 조언 부탁드립니다.. 외로운별 (2014-01-26 19:22:20)

LG전자를 떠나며 CEO에게 남긴 글 (펌자료)

지난 4월 퇴사를 하면서, 그동안 생각했던 바를 정리해서 CEO에게 메일을 보냈다. 아쉽게도 CEO로부터 답장은 받지 못했다. 사실 CEO가 답장을 할 회사라면 그렇게 떠나지도 않았겠다라는 생각이 드니, 그렇게 아쉽지는 않았다. 물론, 메일이라는 것이 개인적인 것이라 이렇게 공개하는 것이 안맞는 것일지 모르나, 메일 내용에 사적인 내용은 없고, 이러한 울림이 커져서 LG전자가 방향을 바로 잡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기에 이곳에 올린다. ——————————————————————————————- (2011년 4월 12일) 안녕하세요, 구본준 CEO님. 저는 CTO소속의 최세윤 선임연구원입니다. 구본준 CEO님께서는 다른 분들의 의견을 경청한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습니다. 이제 곧 퇴사를 앞두고, 제가 사..

현대자동차그룹의 근무문화 (펌자료)

현재 현대자동차그룹의 계열사중 한곳으로 이직을 고민하고있습니다. 지금 다니는 회사에 비교해서 연봉,출퇴근거리,사업의 안정성 등등 거의 모든것이 더 낫다고 판단하는데요 한가지 고민되는점이 여성의 육아휴직이나 출산 후 복귀해서 일할 수 있는 여건 등등이 잘 되어있는지 궁금합니다. 제도적인거야 물론 잘 되어있겠지만 그런제도보다 전반적인 회사의 분위기나 여성의 출산휴가 그런걸 잘 이해해주는 조직문화인지. 여성임원은 많은지, 노조가있어서 오히려 더 잘 보장될것 같기도 한데, 이런부분은 겉으로보여지는것으로 판단할 수 없기에.. 이곳에 올려봅니다. 지금 다니는 회사는 외국계회사같은 분위기에 여성도 많이 종사하는 직종이라 회사에서 육아휴직내고 다시 복귀하는 선배들을 많이 봐왔거든요. 뭐 휴직계낸다고 그리 많이 눈치주는..